은진송씨 대종회 | 대표 : 송석근 | 주소 :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춘당로 161 , 원일빌딩 6층 (법동) | 사업자 등록번호 : 514-82-86783
전화 : 042-256-0835 | 팩스 : 042-633-0531 | 개인정보 책임자 : 송인집 (ejs0835@hanmail.net)
고객센터
042-256-0835
ejs0835@hanmail.net
상담운영시간
AM 09:00~PM06:00
주말 공휴일은 고객센터
게시판을이용해주세요.
인물정보
대종회 정보 > 인물정보송갑조(宋甲祚)
경헌공 송갑조 묘역 대전 동구 판암동 경헌공 송갑조 묘비
|
수옹(睡翁) 경헌공(景獻公) 갑조(甲祚) (1574/선조 7~1628/인조 6) 송갑조(1574~1628)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 은진(恩津). 호 수옹(睡翁). 자 원유(元裕). 시호 경헌(景獻).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 1617년(광해군 9)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유폐(幽閉)를 반대하여 유적(儒籍)에서 삭제되었다.1623년 인조반정으로 천거를 받아 강릉참봉(康陵參奉)이 되었고,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는 왕을 호종(扈從)하여 공주(公州)로 피란하였고 난이 평정된 뒤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이 되었다. 1627년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에 승진되어 상경하는 도중 정묘호란으로 남하(南下)하는 세자 일행을 만나 완산(完山)으로 따라갔으나 화의가 성립되자 비분하여 벼슬을 버리고 그길로 귀가 하였다가 병을 얻어 이듬해인 1628년(인조 6) 4월 1일에 타계하였다. 처음에는 옥천군 이원면 구룡촌 적등강(沃川郡 伊院面 九龍村 赤登江) 근처에 안장하였는데 그 수토(水土)가 천박(淺薄)하고 오환(五患)149)이 범함으로서1643년(인조 21) 2월 1일에 옥천군 남쪽 이산현 금당골(利山縣 金堂谷) 오향(午向)의 언덕으로 이장하였다가 1657년(효종 8)에 다시 지금의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 산소골 쌍청당 묘소 앞 임좌(壬坐)에 배위 선산곽씨와 함께 이장하였다150). 1726(영조 2)년 : 6월 26일 예조에서 증시(贈諡)하기를 청하니 윤허하였다. 수옹공에게 경헌(景獻)이란 시호를 추증하였다. 숙종 병신(숙종 42)년에 헌신이 수옹공에게 추시(追諡 : 죽은 뒤에 시호를 내림)할 것을 말했었는데, 이때에 유신이 경연에서 아뢰어 윤허를 얻었다. 수옹공에게 시호를 내린 것은 수옹공 자신에 큰 절개가 있었고, 현철(賢哲)한 아들을 낳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병오(丙午:1726, 영조 2)에 이르러 연신(筵臣)이 전날의 일을 아뢰자 마침내 시호를 내리도록 명하기를 선조(先朝)의 뜻과 같이 하였다. 태상시(太常寺)에서 ‘경헌(景獻)’이라는 시호를 올리니, 이는 ‘옳은 것을 지키고 굴복하지 않음을 경(景)이라 한다. 〔守義不屈曰景〕’와 ‘외면은 충성스럽고 내면은 덕이 있음을 헌(獻)이라 한다.〔嚮忠內德曰獻〕’의 시법(諡法)을 적용한 것인데, 성상이 이를 윤허하였다. [『승정원일기』, 영조 2(1726)년 11월 1일] 신도비는 3남 우암 시열(時烈)이 짓고 동춘당(同春堂) 준길(浚吉)이 쓰고 대제학(大提學) 김수항(金壽恒)이 전(篆)을 해서 1665(현종 6)년에 세웠다. 묘소 좌측에 있는 묘갈명은 청음 김상헌이 짓고 신독재 김집이 써서 1647(인조 25)년 8월에 세웠다. 우측에 있는 묘표음기는 동춘께서 짓고 쓴 비가 1653(효종 4)년에 세워졌다.(이질 姨妷 송준길 병서 이질이라는 표현이 나옴) 좌측에 있는 추기 신도비는 도곡(陶谷) 이의현(李宜顯)이 짓고 썼는데, 1726(영조 2)년 경헌이란 시호를 받은 사유를 기록하여 1747(영조 23)년에 세웠다. 경헌이란 시호를 내린 것은 수옹공 자신이 큰 절개가 있고 현철(賢哲)한 아들을 낳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행장(行狀)은 역시 3남 시열(時烈)이 지었다. 시장(諡狀)은 포암(圃庵) 윤봉조(尹鳳朝)가 지었다. 효종때 집의(執義)가 증직되고 현종 때 또 아들 시열(時烈)이 귀히 됨에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고, 영조 때 경헌공(景獻公)의 시호가 내려졌다. 뒤에 쌍청당, 박팽년(朴彭年)과 함께 회덕 정절사(靖節祠)에 배향되었다. 《수옹일기(睡翁日記)》가 있다. |